이 강의는 전과정패스, 기본패스,
기본이론 패키지에 포함된 강의입니다.
2023년 제21회 사회복지사 1급 대비
기본이론 - 1교시 사회복지기초
강의 업로드 및 교재 안내
Oikos 사회복지사 1급 기본이론 - 1교시 사회복지기초 (For. 2023) 강좌는 2월 16일부터 매주 촬영 진행되어 익익일에 업로드될 예정입니다.
2월 18일 첫 강의 업로드.
프리패스 수강생 이외에는 교재 별도구매입니다.
강의는 통합이론서 1교시 교재를 사용하며, 2월 28일(월) 출고될 예정으로 교재 입고 전까지만 PDF 자료가 제공됩니다. (아래 자료 다운로드 링크)
할인해서 수강하는 방법
▶ 전과정 패스
▶ 기본 패스
▶ 기본강의 패키지
2021년 강의와 차별점
▶ 기존 2021년 기본강의에서는 진행하지 않았던 대표기출문제 풀이 시간이 함께 있습니다.
▶ 2022년 신규 법령 개정사항이 반영됩니다.
▶ 2022년 신규 기출문제 관련 내용이 반영됩니다.
강좌소개
사회복지사 정통파 김진원 교수님이 사회복지사 1급 시험의 출제논점을 정확하게 조명하는 수험 최적화 합격전략 강의입니다.
사회복지사 1급 초심자 여러분들의 필수 기본강의로서 앞으로 진행될 모든 강의의 기초가 되는 내용을 다룹니다.
■ 합격생들이 선택한 시험에 가장 강한 강의
사회복지수험 역사상 유일하게 1회부터 20회까지 전(全)회분 기출문제를 진도별로 심층분석하여 기초부터 심화까지, 개념과 원리를 종합 정리하여 완벽하게 이해하도록 해드립니다.
■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독보적인 적중률
역대 기출문제를 심층분석하여 추출한 시험족보와 기출논점을 기반으로 필수개념과 핵심이론을 집중적으로 공부하여 안전하고 정확하게 갑격 점수를 공략할 수 있습니다.
■ 빈출 내용의 도식화 및 특수 암기법을 통한 뇌새김
복잡한 내용을 도식화·도해화하고 특수 암기법을 제시하여 이해된 내용을 즉석에서 암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시켜 드릴 것입니다.
수강대상
▶ 헛다리 짚지 않고 정확하고 안전하게 1급 합격을 하고 싶은 수험생
▶ 사회복지사 1급 시험 준비를 처음 시작하는 모든 수험생
▶ 여러 차례 시험에 떨어진 경험이 있어 자신감이 상실된 수험생
▶ 암기력이 부족하여 이해기반으로 공부하고 싶은 수험생
▶ 기본문제에서 고난도의 문제까지 완벽하게 대비하고 싶은 수험생
강좌범위
제1교시 사회복지기초
- 제 1영역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제 2영역 : 사회복지조사론
강의회차
제 1강. OT : 기본이론강의를 들어야 하는 이유?
제1영역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제 2강. 제1장 인간행동, 발달과 사회복지
제 3강. 제2장 태내기(임신~출산), 영유아기(0~2세)
제 4강. 제2장 학령전기(3~6세), 제3장 아동기(7~12세)
제 5강. 제4장 청소년기(13~18세),제5장 청년기(19~39세)
제 6강. 제6장 중ㆍ장년기(40~64세), 제7장 노년기(65세 이상)
제 7강. 제8장 정신역동이론(1) - 프로이트
제 8강. 제8장 정신역동이론(2) - 에릭슨, 융
제 9강. 제8장 정신역동이론(3) - 아들러 & 제9장 행동주의이론(1) - 초기 행동주의이론
제 10강. 제9장 행동주의이론(1) - 스키너, 반두라
제 11강. 제10장 인지이론 - 피아제, 콜버그, 인지치료
제 12강. 제11장 인본주의이론 - 로저스, 매슬로우
제 13강. 제12장 사회체계이론
제 14강. 제13장 사회체계로서의 가족, 집단, 제14장 사회체계로서의 조직, 지역사회, 문화
제2영역 사회복지조사론
제 15강. 제1장 과학과 조사연구방법(1)
제 16강. 제1장 과학과 조사연구방법(2)
제 17강. 제2장 사회복지조사방법의 기본 개념(1)
제 18강. 제2장 사회복지조사방법의 기본 개념(2)
제 19강. 제3장 사회조사방법의 형태와 절차
제 20강. 제4장 질문지 작성
제 21강. 제5장 측정과 척도
제 22강. 제6장 신뢰도와 타당도(1)
제 23강. 제6장 신뢰도와 타당도(2)
제 24강. 제7장 표본추출(표집)(1)
제 25강. 제7장 표본추출(표집)(2)
제 26강. 제8장 자료수집과 질문지법, 제9장 면접법과 관찰법
제 27강. 제10장 비반응성 자료수집과 내용분석
제 28강. 제11장 실험설계(1)
제 29강. 제11장 실험설계(2)
제 30강. 제12장 단일사례연구
제 31강. 제13장 질적 연구방법론
제 32강. 제14장 욕구조사와 평가조사 & 제15장 자료처리 및 연구보고서 작성 [완강]